본문 바로가기
IT

노 스크린 AI 시대의 도래, 스마트폰 없는 미래가 가능할까?

by greencap 2025. 6. 19.
반응형

 

 

 

스마트폰 없이 AI를 사용하는 시대가 다가옵니다. 노 스크린 AI 기술과 대표 제품, 향후 전망까지 한눈에 살펴보세요.

 

노 스크린 AI 시대의 도래

 

 

 


스마트폰 이후의 시대, 노 스크린 AI가 온다


2010년대 스마트폰 혁명은 우리 삶을 완전히 바꿨습니다. 하지만 2020년대 중반, 새로운 트렌드가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바로 '노 스크린 AI'입니다. 이 기술은 더 이상 손에 쥐고 화면을 터치하지 않아도, AI가 우리를 보조하는 시대를 예고합니다. 인간 중심, 음성 중심의 인터페이스가 스마트폰을 대체할 수 있을까요?



노 스크린 AI란 무엇인가?

 

Humane AI PIN
Humane AI PIN


1. 노 스크린 AI의 개념과 등장 배경

노 스크린 AI는 말 그대로 ‘화면이 없는 인공지능 기기’를 뜻합니다. 대표적으로 AI 이어폰, AI 핀, AI 버튼형 기기 등은 시각적 디스플레이 없이 음성, 제스처, 터치 등으로 작동합니다. 이러한 개념은 점차 복잡해지는 스마트폰의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을 넘어서려는 시도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미국의 스타트업 Humane은 2023년 ‘AI 핀’을 공개하며 새로운 시대를 알렸습니다. 이 장치는 음성 명령으로 작동하고, 손 위에 정보를 프로젝션 하는 등 독특한 방식으로 AI를 구현합니다.


2. 왜 '스크린 없는' 기술이 주목받는가?

사람들은 더 빠르고 직관적인 방식의 기술을 원하고 있습니다. 화면을 열고 앱을 찾고 조작하는 복잡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노 스크린 AI는 바로 이러한 ‘UX 단순화’와 ‘몰입형 기술 경험’을 제공합니다. 또한 AI 기술의 발전, 특히 자연어 이해 능력의 비약적인 향상은 음성 기반 인터페이스를 실용적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 '노 스크린 AI'로 제2의 혁명을 이끌고 있는 오픈 AI에 대해 알아보세요!

 

오픈AI '노 스크린 AI'로 제2 혁명 이끈다!

 



노 스크린 AI의 대표 기술과 제품들


1. Humane AI 핀 – 손 위의 AI 비서

Humane AI는 2023년 ‘AI Pin’을 선보이며 전 세계 기술 팬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 핀은 옷에 부착해 사용하며, 스마트폰 없이도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 음성 인식 기반의 대화형 검색


• 카메라 기반 실시간 인식 (음식, 물체, 글자 등)


• 손바닥에 정보를 투사하는 프로젝션


• ChatGPT 같은 LLM을 활용한 자연어 응답

정식 출시는 2024년부터 진행됐으며, 초기 평가는 “화면 없는 스마트폰”이라는 별명이 붙여졌습니다.


2. Rabbit R1 – 버튼 하나로 모든 걸 실행하는 기기

Rabbit R1
Rabbit R1

 

2024년 CES에서 큰 주목을 받은 Rabbit사의 R1은 조그만 주황색 기기로, LLM 기반 명령 처리 기술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없이도 음악 재생, 일정 관리, 번역, 배달 앱 호출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행동 기반 인터페이스”라는 점이 핵심입니다.

R1은 스마트폰의 앱 중심 구조를 벗어나, ‘하고 싶은 일’을 말하면 AI가 실행하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한다.”
— Wired, 2024년 1월 기사



삼성, 구글 등 빅테크 기업들의 움직임

 

구글 Project Astra


삼성전자는 2024년부터 갤럭시 AI 기능을 강조하면서, 웨어러블 형태의 AI 비서 연구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구글 역시 Project Astra를 통해 비주얼 기반 AI 에이전트를 개발 중이며, 유튜브, 검색, 지메일 등 자사 생태계와 통합된 스크린리스 인터페이스를 준비 중입니다.



노 스크린 AI의 기술적 핵심


1. 자연어 처리와 AI 에이전트 기술의 발전

노 스크린 AI의 핵심은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이해하고 실행하는 능력입니다. 최근 LLM 기술은 인간의 대화를 거의 완벽히 파악하고, 지시를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예컨대,
• “오늘 일정 알려줘” → 캘린더 확인 후 음성 응답
• “이메일 보내줘” → Gmail 자동 작성 및 발송

이러한 대화형 AI는 이미 ChatGPT, Gemini, Claude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확인되고 있으며, 노 스크린 AI에 필수적인 기반 기술입니다.


2.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음성 인터페이스의 융합

스마트 안경
스마트 안경

 

노 스크린 AI는 대부분 웨어러블 형태로 구현됩니다. 스마트 이어폰, 안경, 핀, 버튼 등이 그 예입니다. 이들은 음성 명령을 기본 인터페이스로 삼고 있으며, 제스처, 카메라, 햅틱 피드백 등 다양한 보조 기능과 통합되어 직관적인 경험을 제공합니다.



노 스크린 AI가 바꾸는 일상과 산업


1. 스마트폰 대체 가능성

아직까지 스마트폰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일정 관리, 메시지 확인, 검색, 정보 탐색 등 일부 일상 기능은 이미 노 스크린 AI 디바이스로 대체 가능한 수준입니다. 특히 시각 장애인, 고령자 등에게는 더 직관적인 기술 접근 방식이 될 수 있습니다.


2. 교육, 헬스케어, 쇼핑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

• 교육: AI 이어폰을 통한 실시간 통역 및 질문 응답


• 헬스케어: 체온, 심박수, 음성 패턴 등을 기반으로 건강 모니터링


• 쇼핑: 음성 기반 상품 검색 및 구매 (예: “이거 어디서 사?” → 추천 링크 제공)

 

 



노 스크린 AI의 한계와 극복 과제


1. 프라이버시와 보안 이슈

음성 녹음, 실시간 카메라 사용 등은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AI 핀 같은 경우 항상 켜져 있는 마이크와 카메라는 정보 유출 위험을 동반합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Always On” 기능의 투명한 사용 정책과 로컬 처리 기술 등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2. 사용자 경험(UX)의 한계와 과제

화면이 없다는 점은 시각적 피드백의 부재를 의미합니다. 사용자가 정보를 확인하고 선택하는 과정에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 프로젝션 기술 (Humane의 손 위 투사)


• 음성 요약 기술 (빠르고 명확한 정보 전달)


• 햅틱 알림 및 제스처 인식


등이 함께 연구되고 있습니다.



미래 전망 – 노 스크린 AI는 어디로 가는가?


1. AI 개인비서 시장의 성장 가능성

Statista에 따르면, AI 개인비서 시장은 2024년 기준 약 100억 달러 규모로, 2028년까지 두 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스마트폰에 의존하지 않는 새로운 소비자 경험이 자리 잡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2. 스마트폰 없는 사회가 도래할 수 있을까?

단기적으로는 공존이 예상됩니다. 하지만 10년 이내에 AI 웨어러블이 스마트폰의 핵심 기능을 대부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음성 중심 사회, 손이 자유로운 환경이 강조되는 미래에서는 노 스크린 AI가 중심이 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이후의 시대를 준비하자


노 스크린 AI는 단순한 기술 트렌드를 넘어, 인간 중심의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제시합니다. 더 빠르고, 더 직관적이며, 더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AI를 활용하는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은 한계도 존재하지만, 기술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으며, 가까운 미래에는 스마트폰 없이도 대부분의 일상 작업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지금부터 관심을 가지고 이 변화를 이해하고 준비한다면, 스마트폰 이후의 시대에서도 앞서가는 사용자가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