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SK텔레콤 유심 정보 해킹 사건: 개요, 대책, 그리고 가입자의 안전한 대처법

by greencap 2025. 4. 27.
반응형

 

 

2025년 4월, SK텔레콤에서 가입자의 유심(USIM) 관련 정보가 유출되는 대규모 해킹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이용자들이 개인정보 노출과 2차 범죄 피해에 대한 불안에 휩싸였고, 전국 매장에는 유심 교체를 원하는 고객들이 몰렸습니다. 이 글에서는 사건의 개요와 SK텔레콤의 대책, 유심의 주요 기능, 그리고 가입자가 실제로 취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안전 대처법을 알아봅니다.

 

SK텔레콤 유심 정보 해킹 사건

 

 

 


SK텔레콤 유심 정보 해킹 사건

 

SK텔레콤 유심 정보 해킹 사건 안내문
SK텔레콤 유심 정보 해킹 사건 안내문 일부

 

2025년 4월, SK텔레콤의 내부 서버가 해킹되어 약 2,300만 명에 달하는 가입자의 유심(USIM) 관련 정보가 유출되는 초유의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해커가 침투시킨 악성코드로 인해 유심 고유식별번호 등 일부 정보가 외부로 빠져나갔으며, 이 정보가 복제폰 개통, 보이스피싱, 심 스와핑 등 2차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습니다. SK텔레콤은 4월 19일 밤 해킹 사실을 인지했고, 21일 외부에 이를 알렸으나, 해킹 경로나 정확한 피해 규모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전국 SK텔레콤 매장에는 유심 교체를 원하는 고객들이 몰렸고, 정부 역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 부처에 신속한 대책 마련과 정보보호 체계 점검을 지시했습니다.



SK텔레콤의 수습 대책


1. 유심·이심 무료 교체

SK텔레콤은 4월 28일 오전 10시부터 전국 T월드 매장과 공항 로밍센터에서 모든 가입자를 대상으로 유심 및 이심(eSIM) 무료 교체를 실시합니다. 4월 18일 0시 기준 가입자라면 누구나 1회 무상 교체가 가능합니다. 이미 자비로 교체한 경우에도 비용이 환급됩니다.

 

2. 유심보호서비스 무료 제공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 무료로 가입할 수 있는 유심보호서비스를 안내하고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타인이 고객의 유심 정보를 복제 또는 탈취하여 다른 기기에서 통신 서비스에 접속하는 것을 차단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단, 이 서비스 이용 시 기기변경·로밍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SK텔레콤 유심보호서비스 관련 보도자료를 확인해 보세요!

 

SK텔레콤 유심보호서비스 관련 보도자료 전문


3. 정부·관계기관 점검

정부는 SK텔레콤의 조치가 적정한지, 국민 불편 해소에 충분한지 면밀히 점검하고 있습니다. 사고 원인 분석과 결과 공개, 정보보호 체계 전반에 대한 점검도 함께 진행 중입니다.



SK텔레콤 가입자의 현명한 대처 방법


가입자가 유심 정보 해킹 사고에 가장 현명하게 대처하는 방법은 유심을 교체하고,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하는 것입니다. 그 이유와 구체적 실행 방법을 쉽게 설명합니다.


1. 유심 교체

유심(USIM) 정보가 해킹되면, 해커가 내 정보를 복제해 ‘심 스와핑’(SIM Swapping) 범죄를 저지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내 휴대폰은 갑자기 먹통이 되고, 해커가 내 번호로 금융 인증을 받아 계좌를 털거나 각종 서비스에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이미 유심 정보가 유출된 상황이라면, 기존 유심을 새것으로 바꾸는 것이 추가 피해를 막는 가장 직접적인 방법입니다.


2.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유심보호서비스는 내 유심이 등록된 휴대폰 외 다른 기기에 꽂히면, 통화·데이터·로밍 등 모든 통신 기능이 자동으로 차단되는 보안 서비스입니다. 즉, 해커가 내 유심을 복제해도, 다른 폰에 꽂아 사용하려고 하면 아예 작동이 되지 않아 범죄를 원천 차단할 수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SK텔레콤 고객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신청할 수 있고, T월드 앱·웹, 고객센터, 대리점에서 간단히 가입할 수 있습니다.


3. 실제 피해 사례와 통계

2024년만 해도 유심 탈취로 인한 금융 피해가 1,200건 넘게 발생했고, 평균 피해액은 260만 원에 달합니다. 피해자의 80%는 사전에 보안 조치를 하지 않았던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즉, 유심보호서비스에 미리 가입하고, 유심을 교체한 사람은 피해를 막을 수 있었습니다.



유심 교체 방법


1. SK텔레콤 공식 매장 방문 교체

• 전국 T월드 매장 또는 공항 내 T로밍센터에서 교체 가능

• 신분증 지참 필수

• 대리점 직원 안내에 따라 몇 분 내로 즉시 교체 가능

• 교체 후에도 기존 전화번호, 요금제는 그대로 유지

단, 유심에 저장된 연락처, 인증서 등 데이터는 사전에 스마트폰 내장 메모리 등으로 백업 필요 (교체 시 기존 유심은 회수됨).


2. 직접 교체(자급제폰/중고폰 등)

• 휴대폰 전원을 끄고, 유심핀(또는 클립 등)으로 유심 트레이를 꺼냄

• 기존 유심을 빼고 새 유심을 트레이에 맞춰 장착

• 트레이를 다시 삽입하고, 전원을 켬

• 인식이 안 될 경우 2~3회 재부팅 권장

• 유심 크기(나노, 마이크로, 일반) 확인 필요

• 교통카드 기능 등 부가서비스는 유심 교체 시 잔액 이월 불가, 별도 환불 절차 필요.


3. 주의사항

• 일부 스마트워치 등 유심 일체형 단말기는 교체 불가

• 교체 전 유심에 저장된 연락처, 인증서 등은 반드시 백업

• 무상 교체는 1회 한정, 4월 18일 0시 기준 가입자 대상.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 T월드 앱/웹, 고객센터(080-800-0577) 또는 대리점에서 신청

• 가입 즉시 내 유심이 다른 기기에서 사용되는 것을 차단

• 유심 PIN(비밀번호) 설정: 유심에 별도 비밀번호를 걸어두면 추가적인 보안 효과가 있습니다.

• 해외 로밍 차단: 해커가 해외망을 통해 유심을 악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 로밍 차단 서비스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 헤외 로밍 제한: 유심보호서비스를 사용하면 해외 로밍이 제한될 수 있으니, 해외여행 시에는 서비스 해제 후 다시 가입하면 됩니다.

휴대폰이 갑자기 먹통이 되거나, 단말기 변경 알림이 오면 즉시 SK텔레콤 고객센터에 연락해 조치해야 합니다.

 

 

▼ 유심보호서비스 바로가기입니다!

 

유심보호서비스 가입하기

 

 

유심의 기능


유심(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은 통신 서비스 이용 시 필수적인 소형 칩으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 가입자 인증 및 식별: 사용자의 신원, 전화번호, 통신사 정보 등 고유 정보를 저장하여, 통신사가 사용자를 인증하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합니다.

• 네트워크 접속: 유심을 통해 음성통화, 문자, 데이터 등 모바일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유심이 없으면 스마트폰의 기본 통신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기기 이동성: 유심을 다른 기기로 옮기면 동일한 번호와 요금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보안 및 암호화: 유심에는 암호화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 통신 과정의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에 기여합니다.

• 부가 기능: 일부 유심은 교통카드, 모바일뱅킹, NFC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지원합니다.



결론

 

이번 SK텔레콤 유심 정보 해킹 사건은 개인정보 보안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가입자는 유심 교체와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등 현실적이고 즉각적인 조치를 통해 2차 피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통신사와 정부의 신속한 대응과 함께, 이용자 스스로의 적극적인 보안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반응형